괴롭힘을 당했다면

괴롭힘을 당했다면, 혹은 괴롭힘인지 애매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근무환경 악화의 고통을 느꼈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의사 표현] 사후에라도 의사를 표현하기

괴롭힘 행위자의 대부분은 상사.선배 등 지위 또는 관계의 우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방이 괴롭힘이라는 사실 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쉽지는 않은 일이지만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고 느끼기 시작했을 때 바로 행위자에게 이야기하고 사후에라도 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의사를 
  전달하여 행위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대면이나 통화 시에는 녹취를, 이메일/문자/메신저 등으로 할 때에는 행위자의 행위로 인해 어떠한 신체적.정신적 고통 혹은 근무환경 악화를
  느꼈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증거 수집] 만약을 위해 증거 모아두기


 괴롭힘 행위에 대해 의사를 이야기 하였음에도 괴롭힘 행위가 지속된다면 아래와 같이 증거를 모아두세요.
 SNS나 익명게시판 등에 사안에 대해 먼저 폭로하는 것은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습니다. 우선 증거를 모으고 상담 및 신고를 진행해 주세요.

01
녹음
행위자의 이름과 직책, 행위 장소, 당시 상황 등이 구체적으로 들어가 있으면 증거 채택에 더욱 유리합니다.
02
상세한 기록
육하원칙에 따라 누가(행위자), 언제, 어디서(협업하는 00층 회의실, 회식 자리 식당OO 등) 부당한 지시를 어떤 방식으로 하였는지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좋으며, 
그 상황을 봤거나 알고 있는 동료가 있다면 함께 기록해 두세요.
03
문자, 메신저 대화 저장
행위자와의 텍스트 대화(문자/메신저/메일 등)을 저장해 주세요.
단, 전체 맥락 파악을 위해 특정 대화 부분이 아닌 전체 대화 내용을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이나 동료에게 자신이 처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말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연락] 상담/신고하기

• 익명 상담이나 시고, 도움이 필요하다면 걱정 말고 연락해 주세요.


With U 상담 : 사내익명 상담/신고

• 꼭 신고하지 않아도 익명으로 나의 상황이 '직장 내 괴롭힘'에 성립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먼저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신고 후 조사 절차도 외부 전문가와 함께 객관적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