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를 받았다면
성희롱을 당했다면, 혹은 성희롱인지 애매하지만 불쾌감을 느꼈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의사표현] 사후에라도 불쾌하다는 의사를 표현하기
• 쉽지는 않은 일이지만 성희롱 행위에 대해 바로 불편함을 이야기 하거나, 사후에라도 메일이나 메신저 등으로 의사를 전달해 두세요.
상대방은 성희롱이라는 사실 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대면이나 통화 시에는 녹음을, 이메일/문자/메신저 등으로
할 때에는 성희롱의 구체적인 행위 내용을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행위자에게 직접 사과를 받고 다시 이런 일이 없을 거라는 확인을 받아 두세요. 역시 녹음이나 텍스트 기록이 남아있으면 좋습니다.
• 신체적인 성희롱을 당할 때 가능하다면 큰 소리로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거나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는 등의 행동으로 주의를 환기시켜
일단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증거수집] 만약을 위해 성희롱 증거 모아두기
• 불쾌한 의사를 전달했음에도 성희롱이 지속된다면 아래와 같이 증거를 모아두세요.
• SNS나 익명게시판 등에 사안에 대해 먼저 폭로하는 것은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습니다. 우선 증거를 모으고 상담 및 신고를 진행해 주세요.
01
녹음
상대의 동의가 없더라도, 나와의 대화 내용을 녹음하여 증거로 제출 가능합니다.
(성희롱 행위자의 이름과 직책, 성희롱 상황 등이 구체적으로 들어가 있으면 증거 채택에 더욱 유리합니다.)
(성희롱 행위자의 이름과 직책, 성희롱 상황 등이 구체적으로 들어가 있으면 증거 채택에 더욱 유리합니다.)
02
상세한 기록
육하원칙에 따라 누가(성희롱 행위자), 언제, 어디서(회식자리 OO식당 / 협업하는 OO층 회의실 등), 어떻게 & 왜(성희롱 행위)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이 좋으며,
그 상황을 봤거나 알고 있는 동료가 있다면 함께 기록해 두세요.
그 상황을 봤거나 알고 있는 동료가 있다면 함께 기록해 두세요.
03
문자, 메신저 대화저장
성희롱 행위자와의 텍스트 대화(문자 / 메신저 / 메일 등)를 저장해 주세요.
단, 전체 맥락 파악을 위해 특정 대화 부분이 아닌 전체 대화 내용을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단, 전체 맥락 파악을 위해 특정 대화 부분이 아닌 전체 대화 내용을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연락] 상담/신고하기
• 익명 상담이나 시고, 도움이 필요하다면 걱정 말고 연락해 주세요.
1. With U 상담 : 사내익명 상담/신고
• 꼭 신고하지 않아도 익명으로 나의 상황이 성희롱으로 성립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먼저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신고 후 조사 절차도 외부 전문가와 함께 객관적으로 진행됩니다.
2. 외부 기관 상담 : 회사와 관계없이 국가에서 운영하는 전문 기관
• 만약 With U 상담이 부담스럽다면 외부 기관과의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모든 상담은 익명으로 진행되며, 성별과 관계없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만약 With U 상담이 부담스럽다면 외부 기관과의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모든 상담은 익명으로 진행되며, 성별과 관계없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