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장, 동료의 역할
성희롱 예방을 위해서는 조직장의 역할과 주변 동료들의 인식이 중요합니다.
조직장이라면
1. 조직내 건강한 분위기 조성
DO
• 조직 내의 성차별적 농담, 음담패설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적해 주세요.
• 조직 내 대화 중 불편해 하는 조직원의 표현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주세요.
• 피해 사실을 알리는 조직원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들어주세요.
• 피해 직원에게 With U나 외부 상담기관을 안내 해 주세요
DO NOT
• 불필요한 농담이나 언행은 먼저 삼가 해 주세요.
예시 : “웃자고 한 얘기에 왜 그래요~”, “딸 같아서…”, “그거 칭찬인데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2. 권력에 의한 성희롱 인지
• 직장 내 성희롱의 77.8%가 권력(고용형태, 연령, 지위, 직급 등)을 이용한 성희롱입니다. (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권력에 의한 성희롱인 경우,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중징계 처분을 받게 됩니다.
• 아래 케이스들은 우리회사와 타사에서 권력에 위한 성희롱으로 중징계를 받은 실제 케이스를 각색한 것입니다.
사례2 : 차장급의 성희롱 행위자가 정규직 전환을 앞두고 있는 계약직 직원과의 회식 자리에서 “남자친구와 여행 갔다 온 거냐?” 등의 사생활을 집요하게 질문함.
사례3 : 성희롱 행위자가 노래방에서 부하 직원의 어깨에 손을 두르고, 회식 자리를 새벽까지 지속하면서 집에 가지 못하게 하고, 회식 자리를 지정함.
사례4 : 부서장인 성희롱 행위자가 결재를 받으러 자신의 자리에 다가온 부하 직원을 인식하면서도 바로 결재하지 않고, PC 화면에 성적 수치심을 불러 일으키는 동영상을 계속 시청함.
사례5 : 성희롱 행위자가 상급자의 지위를 이용하여 부하 직원에게 단 둘만의 출장을 요구하거나 차 접대를 강요함.
사례6 : 성희롱 행위자가 회식 자리에서 술을 마시지 않으려고 하는 여직원에게 흑기사를 한 남자 직원과 키스를 시키겠다고 말함.
사례7 : 성희롱 행위자가 부하 직원들에게 “여자가 결혼하면 몸매가 망가지는데 너는 모델 몸매니 잘 관리해라, 신이 준 몸매다“, 5만원을 주면서 “속옷을 사 입으라”고 말함.
동료라면
1. 조직내 건강한 분위기 조성
• 성희롱을 할 수 없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세요.
• 부적절한 언행에 대해 주변 동료들이 즉각적으로 지적하는 분위기만 조성돼도 성희롱 상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DO
• 성희롱이 발생할 것 같은 상황이라면 성희롱 행위자의 주의를 돌려주세요.
성희롱 근절의 직접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순 없지만 당장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성희롱 행위가 일어나는 상황에 함께 있다면, 성희롱 행위자에 대해 적극적인 지적이 필요합니다.
예시 : “그런 외모 지적은 성희롱이에요”, “성차별적 이야기는 불쾌합니다”
• 동료 직원이 불쾌함을 표하거나 피해 사실에 대해 상담할 때 적극적인 지지를 해 주세요.
예시 :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이었어요?”, “많이 힘들었을 것 같은데, With U에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겠어요”
DO NOT
• 피해 직원의 책임을 묻는 듯한 질문은 부적절합니다.
예시 : “OO씨가 너무 예민한 거 아니야?”, “치마가 너무 짧더라~”, “그러길래 술자리에 왜 둘이 갔어요?”
• 잘못된 분위기를 조성하는 언행은 삼가 해 주세요.
예시 : “나도 그 때 다 겪었던 일인데 뭘”, “남자들은 원래 다 그래”, “평가 시즌이잖아 그냥 참고 넘어가~”
2. 소문으로 인한 2차 피해 주의
• 소문이 피해 직원에게 더 큰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
• 성희롱 사건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옮기는 것은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니 모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조직 내 대화 중 불편해 하는 조직원의 표현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주세요..
- 피해 사실을 알리는 조직원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들어주세요.
- 피해 직원에게 With U나 외부 상담기관을 안내 해 주세요.